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

(40)
[Spring Cloud Gateway] 로그아웃 확인 [로그아웃 로직]accessToken과 email을 받음email 값으로 Redis내의 Refresh:{email} 삭제accessToken은 따로 저장되어있는 곳이 없기때문에 로그아웃 처리 시 redis에 logout:{accessToken}으로 저장한다.인가 필터에서 accessToken이 redis의 logout:{accessToken} 으로 저장되어있는지 확인한다.true → Exception 처리  1. module-common → [AuthController]/** * 로그아웃 * 1. Redis내의 refresh_token 삭제 * 2. Redis에 현재 access_token을 logout 상태로 등록 * - 2.1. 해당 access_token의 남은 유효시간..
[Postman] Invisible Character 오류 분명 똑같이 생겼는데 왜 postman에서 위의 url은 오류가 뜨고, 밑에 url은 정상작동할까 . . . ?나는 내가 경로 설정을 잘못한 줄 알고 삽질하고 있었는데,,,,,,,,,,,,,,,,,,,,,,, 이렇게 이렇게 이렇게 이렇게 ?..?.?  path에 '%08' 뜰 때부터 알았어야 했는데 내 시간 내 시간 내 시간 내 시간 내 시간 내 시간 내 시간 내 시간 내 시간 내 시간 내 시간 내 시간 돌려줘 내 시간    구글 검색 엔진에서는 보이네 스페이스바 ^^^ 개빡치네.! ..
[Spring Cloud Gateway] 회원가입, 로그인 라우팅 확인 스프링 클라우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만들었던 단일 서버 분리 필요 Eureka를 사용하여 Spring Cloud Gateway와 MODULE_COMMON 인스턴스를 이용하여 인증/ 인가 부분을 분리한다.  SpringBoot 3.3.2 + JPA + Spring Security  [apigateway 폴더 구조]  1. apigateway → [build.gradle]dependencies { 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cloud:spring-cloud-starter-gateway' 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cloud:spring-cloud-starter-netflix-eureka-client' implemen..
[Spring Cloud Gateway] Springboot Eureka 설정 module-eureka: 유레카 서버로 설정 1. module-eureka → [build.gradle]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cloud:spring-cloud-starter-netflix-eureka-server'유레카 서버로 사용하기 위한 dependency   2. module-eureka → [application.yml]server: port: 8761spring: application: name: module-eurekaeureka: client: register-with-eureka: false fetch-registry: false serviceUrl: defaultZone: http://localhost:876..
JWT 로그아웃 구현 시 [Redis parameter 오류] AuthController /** * 로그아웃 * 1. Redis내의 refresh_token 삭제 * 2. Redis에 현재 access_token을 logout 상태로 등록 * - 2.1. 해당 access_token의 남은 유효시간을 Redis의 TTL로 등록 * 3. JwtTokenFilter 파일의 doFIlterInternal 메소드에서 redis에 logout 상태인지 검증하는 로직 추가 * */ @DeleteMapping("/api/v1/auth/logout") public ResponseEntity logout(@RequestBody LogoutRequest request) { authService.logout(req..
[오류 정리] 1. RedisConfig basePackages 설정***************************APPLICATION FAILED TO START***************************Description:Parameter 1 of constructor in com.example.common_module.domain.coolsms.service.SmsServiceImpl required a bean of type 'com.example.common_module.domain.coolsms.repository.SmsRepository' that could not be found.Action:Consider defining a bean of type 'com.example.common_modul..
[SpringBoot] .yml key 문제 해결 이전에 riot api key를 service파일에서 .yml파일로 옮겼는데 swagger에서 제대로 조회되지않는 문제 발생→ postman에서 테스트할 때는 정상적으로 api를 끌어오는데 swagger에서는 되지않음. application.ymlriot: key: "RGAPI-5f44309c-116f-40d4-8cf4-3d07c1263221" ↓private String mykey = "RGAPI-5f44309c-116f-40d4-8cf4-3d07c12632**";service로 옮기니 swagger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함yml파일에..
[프로젝트 마무리] Swagger + postman 정리 Swagger          Postman다음부터는 테스트 코드 작성해야겠다 생각..